공지사항
<센터블로그>보청기, 노인 난청과 치매 막는 열쇠가 되다
<센터블로그>보청기, 노인 난청과 치매 막는 열쇠가 되다
안녕하세요,
김성근 보청기센터입니다.
노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질환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굉장히 다양하지만 그 중 뇌, 신경계 질환이 잘 알려져 있지요.
일반적으로 뇌 신경계 질환이라 하면 가장 먼저 3대 노인성 질환으로 불리는 뇌졸중, 치매, 파킨슨병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지요.
그 중 치매는 ‘나를 잃어버리는 고통’을 유발한다고 하여 이를 예방하고자 노력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치매를 예방하려면 먼저 그 원인을 알아야겠지요?
치매의 3대 원인 질환으로는 '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그리고 '루이체 치매'가 있는데요,
그 밖에 ‘난청’ 증상으로도 치매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해요.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의 프랭크 린 박사와 그의 동료들이 약 12년 동안 성인 639명을 추적 관찰한 결과,
경도 난청인이 정상 청력을 가진 사람보다 치매에 걸릴 위험이 두 배나 높았고
이보다 조금 더 심한 정도의 난청인은 치매 위험이 약 3배 높았으며,
중증도 난청인은 5배 더 높았다고 합니다.
이처럼 난청은 치매와 연관이 깊다고 하는데요, 왜 그런지 한 번 알아볼까요?
노인 난청
먼저 난청에 대해 알아봅시다.
난청은 다른 노인성 질환처럼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노인성 난청은 달팽이관 속의 유모세포와 청신경이 망가져
제 기능을 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이미지출처: www.MedicalGraphics.de (CC BY-ND 4.0).)
일반적으로 난청은 65세 중 4명당 1명, 75세 중 3명당 1명, 85세 중 2명당 1명, 95세 중
모두에게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젊은 나이에도 난청이 많이 발생하여 난청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고 해요.
대한이과학회는 국내 난청 인구가 2026년에는 300만 명, 2050년에는 최대 7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한다고 해요.
난청이 통증을 유발하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어서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난청이 발생하면 우울감 또는 치매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난청과 우울감
의사소통은 사회적 활동의 기본이지요,
그런데 난청은 말소리를 알아듣기 어렵게 하여 의사소통을 어렵게 합니다.
이는 심각한 사회적 고립감을 야기하여 소외감과 우울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난청은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우울감을 심화할 수 있는데요,
난청으로 인해 말소리를 못 알아듣게 되면
상대방의 말소리를 알아듣기 위해 과도하게 예민해지고 쉽게 피로해집니다.
그러나 난청은 아무리 신경을 써도 상대방의 말소리를 알아듣기 어렵게 한다는 특징이 있지요.
난청과 치매
소외감과 우울감을 유발하는 난청 증상을 겪는 분들은 치매에 걸릴 위험이 높습니다.
우울감과 치매의 연관성은 해외 연구에서도 밝혀진 바 있습니다.
영국 알츠하이머 단체(Alzheimer's Society)에 따르면 치매 환자가 우울증을 앓게 될 시 사고력과 기억력이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난청인의 뇌는 말소리를 듣고 이해하는 '베르니케 영역(Wernicke's area)'이 위축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뇌 활동을 줄여 치매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즉 난청은 청각세포와 청각중추를 퇴화시킬 뿐 아니라 뇌세포를 퇴화하여 치매를 유발할 수 있는 것입니다.
보청기 원리
그렇다면 우울감, 소외감뿐만 아니라 치매를 유발하는
노인성 난청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난청은 제때 관리하는 것을 통해 개선될 수 있고 관리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치매도 예방할 수 있지요.
난청 관리는 보청기 착용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
보청기를 착용하게 되면 들리지 않는 말소리를 잘 알아듣게 되면서
소외감으로 인한 우울감을 예방할 수 있으며,
말소리를 알아듣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 부분이 위축되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난청이 발생할 시 난청 관리의 필요성을 빨리 느끼고 이에 대처하는 것입니다.
난청은 제때 관리되지 못할 시 청력이 악화될 뿐 아니라
인지 능력이 계속 떨어져 우울증 및 치매에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주변에 난청 증상이 있는 어르신이 있다면,
이비인후과를 방문해 난청 진료를 받거나 보청기를 착용하도록 권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전화번호
- 02-3482-3236
- 진료시간
- 월~금오전 10:00 ~ 오후 06:00
- 점 심오후 12:30 ~ 오후 02:00
- 토요일오전 10:00 ~ 오후 04:00
- 일요일 / 공휴일 휴무
- 주소
-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437, 대원빌딩 6층
상호 : 김성근이비인후과 / 대표자명 : 김성근 / 사업자등록번호 : 109-90-09459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437, 602(서초동,대원빌딩 6층) 김성근 이비인후과
Tel : 02.3482.3236 / Fax : 02.3478.0129
COPYRIGHT 2011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