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01_bg
이명
이명
이명이란 외부에서 소리 자극 없이 신체내 대사 중에 일어나는 소리를 귓속 또는 머리 속에서 감각하는 이상 음감을 말하며, 자각적으로 느끼는 증상을 이명증이라 한다. 우리나라에서 이명을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는 전체 외래 환자의 약 5%에 해당하며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1.5:1로 남자에서 많이 말생하며, 20∼50대의 활동기에 초발하는 경우가 전체의 84%나 차지합니다. 부위별로는 일측이 73%, 양측이 26%, 두명(tinnitus of head origin)이 1%로, 일측이 전체의 약 3/4을 차지하며, 일측 중에서 좌측이 우측보다 월등하게 많습니다.
이명의 원인
이명의 원인을 추정할 수 있는 경우는 71%, 원인불명인 경우는 29%이며, 추정 가능한 원인은 내이질환 20%, 소음 15%, 두경부 외상 13%, 외이염 및 중이염 7%, 약물6%, 상기도염 3%, 스트레스 3%, 피로 1% 순이다. 일측성 이명이 난청과 함께 현기 및 얼굴 감각이상등과 동반되면 청신경 종양 등의 소뇌교각부 병변도 고려해보아야 합니다.
소음이나 두경부 외상 등으로 인한 것은 와우 내의 유모세포가 손상되고, 실제 음자극과 구별되지 않게 중추청각경로를 반복해서 자극해 소리가 나는 것처럼 잘못 인지하는 것입니다. 그 외 알려진 기전은 청신경의 감각이상, 혈관 경색, 자율신경 부조화, 고실신경총의 자극, 고삭신경의 과민반응, 청각기 및 뇌 혈류장애, 중이 및 이관 주위 근육의 과긴장등 다양하지만 환자마다 그 기전이 다릅니다.
진단과 검사
진단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병력을 청취해 원인이 될 만한 것을 찾아 제거하는 것입니다. 특히 청신경 종양과 기타 소뇌교각부 종양 등의 두개내 질환이나 갑상선 질환, 혈액 질환 등 전신 질환의 동반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다음으로 이루, 두부 외상, 소음 노출, 이독성 약물의 사용 및 알코올 중독 등의 과거력, 사회력, 가족력 청취와 함꼐 귀를 포함한 청각기 주변의 국소 소견을 면밀히 조사해야 합니다. 또한 신경이과학적 검사와 두경부의 청진이 중요하고, 타각적 이명과 자각적 이명을 구분해야 합니다. 청각검사로는 표준순음청력검사, 자기청력계기검사, 어음청력검사, 뇌간유발전위 청력검사, 이명검사, 이음향방사검사 등을 시행해야 하며, 경우에 따라 영상검사로는 뇌와 측두골의 전산화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촬영, 경동∼정맥의 혈관조영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그 외 진단검사로는 혈액검사CBC, 감상선 기능검사, 알레르기 검사, 전기근전도 검사와 심전도 검사 등을 시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
원인이 뚜렷한 이명은 원인을 제거하면 치유가 가능하나 앞서 기술한 여러 원인들을 치료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더욱이 혈관성이거나 지속적 이관 개방, 근 수측 등의 타각적 이명과 다발성 뇌경화증, 뇌혈관 이상, 두개내 종양, 뇌혈관 신경압박증후군등 원인치료가 어려운 두개내 질환 등에 동반된 이명은 치료가 어렵습니다. 그러나, 그 외의 이명은 환자자신이 이명의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이명 자체에 의해 난청, 고혈압, 뇌질환 등의 다른 합병증이 병발하지 않는다는 점을 검사를 통하여 환자가 알고 이해 해야합니다 . 치료받은 이명 환자의 25%는 매우 호전되고, 50%는 어는 정도 호전된다는 보고와 함께 적극적인 치료법과 최근에 소개된 이명 재훈련 치료로 환자의 65∼80%가 치료되었다는 보고가 있어, 꾸준히 치료를 할 수 있도록 의사와 환자간의 신뢰가 돈독해야 합니다.
1. 약물요법 – 이명을 경감시키거나 이명증에 따른 우울, 불안이나 수면 장애를 도와주는 약제, 내이의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약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많은 약제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주로 혈액순환 개선제와 진정제 그리고 항우울제과 비타민과 아연등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2. 스테로이드 고실내 주사요법 – 고실 내에 주사한 스테로이드는 고실신경총의 흥분을 안정시키고, 내이의 이상흥분을 개선하는 작용을 합니다.
3. 차폐요법 - 특정한 장치를 통해 외부에서 신경에 거스르지 않을 정도의 음을 지속적으로 줌으로써 이명을 느끼지 않게 하는 장치입니다.
4. 보청기: 청력을 증강시키고 동시에 이명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청력소실이 같이 있는 이명증 환자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이명 재훈련(재활) 치료 – 이명 재훈련의 목적은 이명에 대한 불안감, 걱정, 잘못된 인식, 괴로움, 불편감, 귀찮음, 불면증, 우울증 등의 정서적, 감정적 증상을 인지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즉 이명을 의미없는 자연스러운 소리로 인식하도록 신경회로망에서 재편성하고, 필요하고 중요한 소리와 구별하도록 재구성하는 과정입니다.
보고자들마다 환자의 65∼80%가 치료되었다고 보고하며, 환자의 분류에 따라 성적이 다르지만 지금까지의 이명치료중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간의 치료와 경과 관찰이 필요하여 환자들이 포기하는 경우가 있어 치료자는 세심한 상담과 인내가 필요합니다.
6. 인공와우이식수술이나 이명억제장치 이식과 이명의 원인별 수술요법이 있습니다.
7. 기타로 자기장(magnetic) 치료, Botulinum toxin A 주사요법이 있습니다.
- 전화번호
- 02-3482-3236
- 진료시간
- 월~금오전 10:00 ~ 오후 06:00
- 점 심오후 12:30 ~ 오후 02:00
- 토요일오전 10:00 ~ 오후 04:00
- 일요일 / 공휴일 휴무
- 주소
-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437, 대원빌딩 6층
상호 : 김성근이비인후과 / 대표자명 : 김성근 / 사업자등록번호 : 109-90-09459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437, 602(서초동,대원빌딩 6층) 김성근 이비인후과
Tel : 02.3482.3236 / Fax : 02.3478.0129
COPYRIGHT 2011 ALL RIGHT RESERVED.